117주년 메이데이 맞이 이주노동자 대회 (4월 29일)
지난 29일 오후 2시 서울역 광장에서 이주노동자 100여명을 비롯해 300여명이 모인“117주년 메이데이 맞이 단속추방 중단, 미등록 이주노동자 전면 합법화, 노동권 확보를 위한 이주노동자 대회”가 열렸다.
이 집회는 이주노조 서울지부, 카사마코, NCC(네팔공동체), ICC(인도네시아공동체), BNS(방글라데시공동체), 버마행동, 스리랑카 공동체가 주최하고 이주노동자 인권·노동권 연대회의가 후원했다.
정부의 계속되는 단속에도 불구하고 이주노동자들은 메이데이의 정신인 노동자들의 국제적 단결을 기리기 위해 서울역에 모였다.
버마행동 대표 뚜라는 ‘현장에서 일하느라 또는 단속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여기 많이 나오지 못했지만 수많은 이주노동자가 많은 지지를 보내고 있다’며 더 많은 이주노동자들의 참가가 이뤄지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전하며 ‘(많은 한국인들이) 연대를 와줘서 고맙다’고 했다.
까지만 이주노조 위원장은 ‘몇 일전 한국정부에서 영주권을 주겠다고 했는데 선별 합법화는 대안이 아니다. 정부의 정책을 믿어선 안된다‘며 이주노동자 정책에 대한 한국노동자와 이주노동자의 연대투쟁을 호소했다.
서울 경기 북부지부장 이쇼르는 ‘한국정부는 우리더러 불법이라고 하지만, 우리 지역에서 한국정부가 불법적으로 일 많이 한다. 아침 6시 30분이나 밤 11시에 불법 단속을 해서 이미 90명이상이 연행되어 있다.’며 이주노동자에게 불법 딱지를 붙이는 정부의 이중성을 폭로했다.
성수분회 분회장 쇼학도 한국정부의 위선을 폭로했다. ‘지금 시기에는 가본가들에게는 (출입국 규제의) 장벽이 없다. 그러나 이주노동자에게는 억압적이다. 정부가 시민권을 준다고 발표했는데 노동권을 보장하지 않고 시민권을 주는 것이 무슨 소용있는가. 한국은 세계의 인권에 대해 말하지만, 한국에서 우리는 불타고 목 메달아 죽는다. 이런 한국이 인권을 말할 자격이 있나’
집회 후 참가자들은 “우리는 하나다” “단속추방 중단하라” 를 외치며 명동성당까지 행진했다.
명동성당에서 열린 정리집회에서 전비연 소속의 전국보험모집인노조 문성진 위원장은 “우리도 특수고용직이기 때문에 노동자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이주노동자들도 똑같은 노동자다. 작은 힘이나마 보태 함께 싸우겠다.”며 결의를 밝혔다.
또한, 다함께 활동가 김덕엽은 “여수‘보호소’ 화제사건은 고용허가제 실시로 인권을 보장하겠다던 노무현 정부의 이주노동자 정책의 파산을 의미한다. 정부는 년 4천만, 월 3백만 수입에 5년 동안 합법으로 일한 노동자에게만 영주권을 주겠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낙타가 바늘구멍 들어가기보다 힘든 것이다. 이런 정부의 태도는 전면합법화 요구에 대한 면피용일뿐이다. 이런 정책에 현혹되지 말고 직장이동의 자유와 전면합법화를 쟁취할 때까지 싸워야한다. 정부가 중국동포에게 방문 취업제, 직장 이동의 자유를 허용한 것처럼 모든 이주노동자에게 이것을 허용해야 한다.”며 정부의 이주노동자 정책에 맞서 싸울 것을 호소했다.
까지만 이주노조 위원장
사진 전재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