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임신ㆍ출산 및 몸에 대한 결정권 선언’ 기자회견
102주년 3ㆍ8 세계 여성의 날을 앞둔 3월 5일 오전 11시, 청계광장에서 낙태 단속과 처벌에 반대하는 24개 여성ㆍ진보단체들은 ‘여성의 임신ㆍ출산 및 몸에 대한 결정권 선언’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50여 명이나 모여 낙태를 처벌하려는 정부와 프로라이프 의사회의 시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이 기자회견은 프로라이프 의사회의 낙태 고발과 정부의 낙태신고센터 운영 등 낙태 처벌 시도에 맞선 한국 여성ㆍ진보단체의 첫 공동행동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 단체들은 그동안 낙태 처벌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두 차례 발표하며 공동대응을 모색해 왔다.
여성학자 오한숙희 씨는 “돈 없는 여성은 몸을 자해하는 방식으로 낙태를 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1900년대 미국에서 낙태합법화 운동이 벌어진 것은 한 여성이 철제깡통을 날카롭게 잘라 몸속에 넣고 낙태를 시도하다가 과다출혈로 사망한 사건이 큰 계기가 됐다. 이 일로 충격을 받은 간호사 마거릿 생거는 낙태합법화 운동을 펼치면서 ‘여성에게는 아이를 낳을 권리와 아이를 낳지 않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다함께 최미진 활동가는 진보ㆍ여성 단체들이 선언식을 열기까지 과정을 설명하며 “이유가 무엇이든 원치 않는 출산으로 고통받을 당사자는 바로 여성 자신이므로 낙태는 여성이 선택할 권리다. 이 때문에 안전하고 합법적으로 낙태할 권리는 여성해방 운동에서 중요한 요구였다”고 주장했다.
또, “낙태 단속 이후 낙태 비용이 무려 10배 이상 치솟았다는 얘기가 들리고 있”고, “낙태 처벌은 여성 노동자와 빈곤 여성들, 미혼모와 임신한 10대를 속죄양으로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여성의전화 란희 인권정책국장은 낙태 단속 이후 산부인과 의사들이 낙태 시술을 거부하면서, 낙태를 필요로 하지만 낙태할 곳을 찾지 못해 전전하는 여성들의 절박한 상황을 고발했다. “정부 방침 이후 낙태 문제로 상담을 원하는 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심지어는 성폭력 피해자에게도 병원에서 입증 서류나 고소장을 요구하는 등 시술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NGA)는 멕시코 낙태권 옹호 운동의 국제 연대 메시지를 조직해 발표했다.
102주년 3.8 세계 여성의 날 전국여성대회 공동기획단의 연대 메시지도 발표됐다.
한국여성민우회는 여성의 임신ㆍ출산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부정하는 현 상황을 풍자하는 퍼포먼스를 재치있게 준비해 참가자들의 호응을 받았다.
선언식은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윤상 소장의 선언문 낭독으로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