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은 언제 어떻게 왜 생겨났나? 그동안 G20이 제시한 경제 위기 해법은 무엇이었나? 이 ‘해법’으로 세계 민중은 조금이라도 실익을 얻었는가? G20이 국제 공조를 이룰 수 없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가까스로 이룬 국제 공조조차 이렇다 할 효과가 있기는 했는가? 서울 회의를 비롯해 G20 정상회의의 앞날은 어떤가? 진보 운동은 G20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이 글은 이런 물음에 대한 나름의 대답이다.
G20에 반대해야 하는 10가지 이유 _ 5
G20에 왜 반대해야 하는가 _ 11
G20의 탄생 배경 _ 12
말만 무성한 G20의 금융 규제 _ 17
G20 정부들의 경기부양책과 긴축정책 _ 23
G20 국제 공조가 제대로 되지 않는 이유 _ 28
IMF를 화려하게 부활시키기 _ 33
‘코리아 이니셔티브’의 본질 _ 36
국제 금융기구 개혁 ― 악마 변신술 _ 40
이명박이 말하는 개발(개도국 지원)의 본질 _ 43
G20 항의 운동의 방향 _ 49
필자 김어진은 G20 공동대응 준비위원회 공동운영위원장(물론 이 글은개인 자격으로 쓴 것이다,)이자 다함께 G20대응팀 팀장이다. 이 글은 다함께 G20대응팀 성원들과의 토론에 바탕해 필자가 대표 집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