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책자는 개정 증보해 단행본 《세월호 참사, 자본주의와 국가를 묻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3판 머리말>
2017년 1월 7일 세월호 참사 1천 일 집회의 제목은 “박근혜는 내려오고, 세월호는 올라오라”였다. 이제 그 말이 현실이 됐다.
박근혜가 파면되고 그로부터 3주 만에 구속되는 순간은 지난 4년 간 묵은 체증이 쑥 내려가는 짜릿한 순간이었다. 평범한 사람들이 거리에서 끈질기게 싸워 얻어 낸 운동의 승리였다. 그리고 세월호 참사 항의 운동은 정권 퇴진 운동과 완전히 한 몸이었다.
박근혜는 지난 3년 내내 우리의 기억 속에서 세월호를 지우려고 했고, “돈보다 생명이 먼저”라는 요구도 같이 지우려고 했다. 그리고 참사 이후에도 또 다른 ‘세월호’를 낳을 친기업, 이윤 우선 정책들(의료 민영화 등)을 강행했다.
우리는 우리의 손으로 직접 박근혜를 끌어내렸다. 이제 그 힘으로 또 다른 ‘세월호’를 막아야 한다. 박근혜는 감옥에 있지만, 박근혜가 남기고 간 황교안 체제와 적폐들은 아직 그대로다. 멈추지 말고 싸워야 한다. 박근혜 구속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참사를 낳은 체제의 근본 성격을 좀 더 자세히 다뤘다.
하나는 다른 무엇보다 이윤을 중시하는 자본주의의 동역학이다. 다른 하나는 그런 자본주의의 동역학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국가다.
특히 세월호 참사를 보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던진 질문 “국가란 무엇인가?”에 답하기 위해,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해 사회계약론이나 “모두를 위한 국익” 등 국가에 대한 ‘상식’을 비판적으로 살펴봤다.
마지막으로 박근혜 구속과 세월호 인양이라는 최신 상황을 반영해 세월호 참사 항의 운동이 나아갈 방향이 무엇이어야 할지 다뤘다. 또, 정권 교체 가능성이 높은 지금,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의 참사들을 돌아보고 정권 교체 이후를 전망해 봤다.
문재인은 3월 7일 “의료 규제를 완화하면서 공공성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12일에는 문재인 캠프가 영입한 김상조 교수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지지를 선언했다.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에는 의료 민영화가 포함돼 있다.
안철수는 11일 “환경과 안전 관련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같은 날 규제프리존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규제프리존법은 의료 민영화에 대한 반발 등으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추진이 난항을 겪자 박근혜 정부가 내놓은 우회로였다.
이들 중 누가 다음 대통령이 되더라도, 차기 정부는 경제 위기에 처한 자본가들이 가하는 압박과 대중의 ‘적폐 청산’ 염원 사이에서 시험대에 오를 것이다.
박근혜를 끌어내리고 세월호를 인양하게 만든 대중 투쟁이 계속해서 중요한 이유다.
2017년 4월 13일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펴냄